본문 바로가기

센터소개197

[센터이야기] KBS 강릉라디오 5시 정보쇼 '행복충전소'에서 방문해 주셨습니다. KBS강릉 라디오 5시 정보쇼 '행복충전소' 강우경 시민리포터께서 센터에 방문해 주셨습니다. 행복충전소를 통해 저희 센터를 소개해 주시겠다고 하십니다. 마침 저희 러시아어 통역상담원이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는 시간이였고, 청소년한국어교실 중등반과 초등반의 수업이 있는 날이라 통역상담원, 청소년한국어교실 강사, 청소년한국어교실 참여 학생들까지 여러명이 인터뷰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예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 . . . . 이렇게 방송이 되었네요^^ https://podbbang.page.link/rBndzpx8vqrWz2Cw5 2024. 2. 8.
[센터이야기] 2024 청소년동계올림픽 잔여물류중 스키복바지를 후원받았습니다. 2024 청소년동계올림픽에 사용되는 물류를 책임졌던 선진로지틱스로부터 스키복 바지 84벌을 후원받았습니다. 사이즈가 넉넉한 것들이라 외국인노동자에게 나눔할 때 준비를 잘 하여야겠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어김없이 밖에서 노동일을 하는 외국인노동자가 조금이라도 더 따뜻하게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설연휴가 지나면 나눔행사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외국인노동자들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에도 뜻한 바 모두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2024. 2. 8.
[센터이야기] 강원특별자치도 이주노동자와 지역사회 상생포럼 참석 강원특별자치도 이주노동자와 지역사회 상생 포럼이 2월 6일 오후 2시 부터 오후 4시까지 춘천에 있는 강원특별자치도 여성가족연구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우리와 늘 함께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는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지난해 가을 설문을 하였습니다. 그 결과를 이번에, 강원도의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진 것이었습니다. "노동력을 불렀는데 사람이 왔다" 이번 발표의 핵심인 결과보고서의 첫 말입니다. 이주노동자를 사람이 아닌 노동력을 제공하는 도구로만 인식하는 현실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 막스 프리슈의 희곡에 나오는 대사라고 합니다. 저출산, 인구감소, 지역소멸...듣기만 해도 어마무시한 이 말의 해결대안 중 한 가지로 이주노동자를 유입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이.. 2024. 2. 6.
[연혁] 2024년 1월 운영현황 2024년 1월 주요 실적입니다. - 상담실적 합계 일상생활 의료지원 행정지원 비자관련 교육지원 교육신청 직장관련 기타 218 56 25 34 51 19 13 14 6 - 이로운 한국어교실(누적인원) 합계 일요일오전반 (성인중급) 일요일오후반 (성인기초) 일요일저녁반 (성인입문) 화요일저녁반 (성인기초) 화/수요일오후반 (청소년) 56 23 5 6 5 17 - 01월 21일 [교육사업] 이로운 한국어 교실 시즌 3 개강 - 01월 31일 [교육사업] 한국어교실 Y 개강 - 01월 04일 [문화통합] 저녁이 있는 삶, 배구교실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강남체육관 - 01월 02일 [센터운영] 2024년 시무식 - 01월 17일 동해 해양경찰서 센터 방문 - 01월 21일 [외부사업] 강릉영동대학교 HIVE.. 2024. 2. 4.
[센터이야기] 강릉영동대학교 HIVE센터, 외국인근로자 설명회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강릉영동대학교 HIVE센터에서 강릉시 외국인근로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설명회를 위해 센터를 방문한 이우진 센터장은, 전날 내린 폭설로 버스가 지연되어 1시간도 넘게 늦은 외국인근로자들을 기다리기도 하였습니다. 기다리는동안 HIVE센터 사업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눌수 있었습니다.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사업도 다양하게 준비할 수 있다고 해서 기대가 커졌습니다. HIVE사업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입니다. 강릉영동대학교의 HVE사업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gyuhive.com/sub/sub1_1 강릉영동대학교 HiVE센터 gyuhive.com 다양한 사업을 모두 소개했으면 좋겠지만.. 2024. 1. 23.
[센터이야기] 강원특별자치도 균형발전과에서 방문해 주셨습니다. 작년 하반기에 외국인정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새로이 생긴 외국인정책TF 팀이 속해 있는 강원특별자치도 균형발전과에서 과장님과 팀장님, 주무관님이 방문해 주셨습니다. 센터 주무부서인 경제진흥과 노사협력계 계장님과 주무관님도 함께 하였습니다. 중점적으로 고용노동부에서 공모하고, 광역자치단체가 신청기관이 되는 [2024년도 외국인근로자 지역정착 지원사업 선정 공모] 신청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외국인정책사업에 대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릉시의 외국인 현황 및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 운영현황에 대해 말씀드렸고, 강원특별자치도에 의견 개진도 요청하셔서 외국인근로자 지원에 관한 강원특별자치도 조례제정과 거점센터 운영에 대해 말씀드리기도 하였습니다. 강원도 전역에.. 2024. 1. 17.
[센터이야기] 레표시카를 아시나요 방학 직전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조리제빵과 학생 20여명이 방문하였었습니다. 센터 인근에 있는 러시아식당에 중아아시아의 빵인 레표시카를 만들어 보기 위함이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제빵과 다른 반죽, 다른 모영 등이 매우 흥미로워 보였습니다. 이주배경 외국인청소년들도 한국의 학교로 진학합니다. 의무교육인 초등학교부터이거나 중학교부터 학업을 시작한 이주배경 청소년들이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고등학교로 바로 입학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한국어 능력이 떨어지므로 학업성적은 상대적으로 떨러질 수 밖에 없으며, 그리하여 일반(평중화)고교를 입학하기는 어렵고, 보통 특성화고교로 진학합니다. 남학생들은 그래도 선택지가 강릉중앙고등학교와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가 있지만 여학생들은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가 유일합니다. 레표시카 .. 2024. 1. 10.
[센터이야기]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 참여청소년들을 위한 희망목도리 뜨기 사단법인 k 정나눔이 주관하고, 강릉자원봉사센터가 함께하는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목도리 뜨기에 참여하였습니다. 러시아, 베트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스스탄 이주여성노동자 13명이 함께 하여 오늘 주최측에 목도리 20개를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뜨게질 방법도 다르고, 뜨게질을 하지 않는 나라도 있고, 뜨게질 자체가 없는 나라의 노동자도 있었습니다. 이번 올림픽에 자국 청소년들이 참여하지 않는 노동자들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나이가 좀 있는 분들은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에서 뜨게질을 배웠던 것처럼 자국에서 중고등학교에서 뜨게질을 배워 본 분들이라 어려운 한국말로 설명하는 뜨게질 용어도 손모양으로 이해하며 배우고, 쫓아가는 눈과 동시에 대바늘을 잡은 양손이 바삐 움직였.. 2024. 1. 9.
[센터이야기] 고래책방 빵나눔_24번째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고래책방[고래빵집]에서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전달해 달라면서 빵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24번째 나눔, 2024년 청룡의 해 첫나눔입니다. 올해도 외국인근로자분들에게 맛있는 빵을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 1. 7.
[연혁] 2023년 12월 실적 2023년 12월 주요 실적입니다. - 상담실적 합계 일상생활 의료지원 행정지원 비자관련 교육지원 교육신청 직장관련 기타 65 24 5 9 9 7 1 10 0 - 이로운 한국어교실(누적인원) 합계 일요일오전반 (성인중급) 일요일오후반 (성인기초) 일요일저녁반 (성인입문) 화요일저녁반 (성인기초) 수/목요일오후반 (청소년) 122 20 19 5 - 78 - 12월 10일 [교육사업] 이로운 한국어교실 시즌2_일요일오전반, 일요일오후반, 일요일저녁반 종강 - 12월 06일 ~ 12월 20일(매주 수요일 오후 07시~09시) [특성화] 러시아어떼기_강사 김 사프론_3회 - 12월 02일 [시멘트사업] 외국인근로자 자녀와 함께하는 지역문화체험, 하슬라아트월드 - 12월 03일, 10일, 21일, 22일 [특성화.. 2024. 1. 2.
[센터이야기] 우리는 열공했었다!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이로운 한국어교실Y가 종강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자녀를 이주배경청소년이라고 합니다. 다소 생소한 단어지만, 이들을 위한 적절한 표현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지난 일년동안 "열공" 했습니다. 그것도 재미있게~ 부쩍 성장한 이들이 너무 대견합니다. 우리 내년에 또 만나자!! 2023. 12. 21.
[센터이야기] 강릉 크리스마스 겨울축제 조직위_"함께라면"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강릉시 교2동주민센터의 소개로, 강릉크리스마스 겨울축제 조직위원회에서 컵라면을 보내주었습니다. 한국사람이나, 외국사람이나.... 겨울에 따뜻한 국물이 있는 라면이 최고죠~ 오늘 종강하는 한국어교실 청소년과 나눔할까 합니다. 따끈 따끈한 선물이 되겠네요. 2023. 12. 21.
[센터이야기] 강원지방기상청 한파신호등 안내와 방한용품 기증 안녕하세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이미, 강원지방기상청에서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가 여름철 더운 날씨를 슬기롭게 대응할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기상정보 앱을 설치해 기상정보를 사전에 접해 열상피해를 줄일 수있도록 해주었지요. 겨울이 되니, 추운 겨울도 슬기롭게 이겨내라고 안내책자를 18개 언어로 번역해 센터에 제공해 주었습니다. 센터 곳곳에 비치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마스크와 귀마개가 함께 되는 방한용품도 주었습니다. 겨울에도 야외근로가 많은 외국인근로자에게 도움이 될 듯합니다. 필요하신 외국인근로자는 센터에서 받아가면 됩니다. 올해 제일 덥고 제일 추울 때 도움을 주어 감사합니다. 2023. 12. 21.
[센터이야기] 고래책방 빵나눔_23번째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고래책방[고래빵집]에서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전달해 달라면서 빵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23번째 나눔입니다.(22번째 나눔은 포스팅을 못했습니다.) 한국어수업Y가 오늘 종강합니다. 한해 동안 고생한 외국인근로자 자녀와 함께 나눠 먹었습니다. 늘 맛있는 빵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 12. 21.
[센터이야기] 삼사를 아시나요? '강릉청소년마을학교 날다'에서 요리2팀 프로젝트로 삼사만들기를 하러 왔습니다. 삼사는 러시아식 군만두라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센터에서 상담테이블을 옮기고, 반죽을 해 놓고 내국인 학생들을 기다렸습니다. 하나 둘 학생들이 모여들고, 오전 10시부터 삼사만들기 체험이 시작되었습니다. 고기를 다지고, 양파를 썰고, 반죽을 밀고, 양파와 고기를 볶고, 향신료를 뿌리고나서 삼사 빚기를 하였습니다. 화덕을 지피고, 소금물을 뿌리고, 화덕에 삼사를 붙이고 나니 식당 사장님이 러시아식 볶음밥을 해주었습니다. 우리의 볶음밥과 달리 양고기가 들어가고, 안남미같은 쌀과 당근 등의 재료가 들어간 러시아식볶음밥이었습니다. 러시아 빵을 소스에도 찍어먹고, 볶음밥도 뚝딱. 삼사가 구워지는 동안 주변 러시아 마켓 등도 구경.. 2023.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