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센터소개/센터이야기169

[센터 방문] 안산시 외국인지원본부에서 센터 방문 안산시외국인주민지원본부에서 센터에 방문해 주셨습니다. 서로 기관의 업무형태와 업무현황 등을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3. 5. 14.
[센터이야기] 강릉 월화야시장_센터홍보 지난 주 금요일인 5월 11일에 월화거리야시장이 개장하였습니다. 월화거리야시장은 월화거리에서 11월까지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6시부터 11시까지 열립니다. 월화야시장에 센터에서 베트남어 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는 이수빈님이 베트남음식인 반미를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첫날 인기는 대단했습니다. 다른 부스에 비해 줄이 너무 길었습니다. 기본 20분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수빈님께서 센터홍보를 해주시겠다면서, 센터 브로셔를 매대 한쪽에 놔주셨습니다. 종종 관심을 보이시는 분들도 계시네요. 홍보협조 감사합니다. 11월까지 대박나서 부자되세요. 2023. 5. 14.
[센터이야기] 안산시 외국인주민지원본부 센터방문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5월11일(목요일)에 안산시 외국인주민지원본부에서 우리 센터 운영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업무교류등에 대한 협의를 하기위해서 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안산시의 경우, 시에 별도의 본부를 설치하고 외국인주민과 근로자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강릉시 담당과 주무관이 자리를 함께 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간담회 이후 센터 시설을 안내하고,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앞으로 두 기관이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023. 5. 14.
[센터이야기] 센터 환경개선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시청 담당계와 교2동 주민센터의 도움으로 센터 업무환경이 개선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직원 앞에 코로나 예방을 위한 투명아크릴이 있었습니다. 아크릴판을 대신해 파티션을 설치했습니다. 업무 처리시 개인정보와 보안 때문에 신경이 많이 쓰이곤 했는데요. 상당 부분 개선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몸무게와 키를 자동으로 측정해 주는 기계도 설치했습니다.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평소에 신체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의료 상담시 기초 정보를 얻는데 활용할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한번 더 센터환경개선에 신경써주신 시담당계와 교2동 주민센터 관계자에게 감사드립니다. 2023. 5. 11.
[센터이야기] 장난감과 칠판 나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기억할실련지 모르겠지만, 지난 2월에 놀이방을 처음 만들고 당근에서 장난감 나눔을 찾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좋은 일에 써달라면서 장난을 잔뜩 안겨 주신 분이 있습니다. https://www.gnscfw.org/26 [20230223] 감사합니다 :) 오늘도 당근을 통해서 유아방에 놓은 장난감을 받았습니다. 칠판을 올려 주셨는데...장난감까지 같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www.gnscfw.org 이번에도 잊지 않으시고, 장난감과 칠판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그것도 핫아이템으로 말이죠.. 감사합니다. 2023. 5. 7.
[고래책방] 빵나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고래책방[고래빵집]에서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전달해 달라면서 빵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9번째 나눔입니다. 오늘은 일요일 오전 수업을 마친 외국인근로자가 빵을 나눠가졌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2023. 5. 7.
[센터이야기] 러시아어 학습동아리 센터 방문(초등교사+교육청 직원)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러시아어 학습모임을 하는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지원청 관계자가 센터를 방문했습니다. 강릉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청 직원이 늘어나고 있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학생을 위해서 러시아어를 배우고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러시아어는 강릉원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김영식 교수가 알려주고 있습니다. 러시아 통이기도 하고, 러시아어를 원어민처럼 구사합니다. 선생님의 실력이 청출어람해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학생과 거리낌 없는 소통을 하고, 학생들의 즐거운 학교생활을 응원해 주었으면 합니다. 2023. 5. 4.
[센터이야기] 보안등 설치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강릉시 교2동주민센터에서 가로등을 한달전에 설치했었습니다. 한국전력에서 와서 전기를 연결해야 가로등에 불이 켜질 것이라고 했었는데, 너무 오래 전이라 잊고 있었습니다. 어제 소셜다이닝 후 퇴근하면서 살펴보니, 가로등에 불이 훤하게 들어왔습니다. 2월만 하더라도, 센터 주변이 어두웠었거든요.(아래 글 참고하세요) [20230221] 밤을 잊은 그대에게~ (gnscfw.org) [20230221] 밤을 잊은 그대에게~ 어제는 외국인 근로자와 함께 한국어 공부를 했습니다. 거리에 약간의 따스함과 열정을 밝혀 봅니다. 외국인 근로자의 따뜻한 이웃이 되겠습니다. www.gnscfw.org 화요일마다 늦게까지 한국어 교실에 참여하는 외국인근로자와 센터 앞을 지나다니는 행인들이 안.. 2023. 5. 4.
[고래책방] 빵나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고래책방[고래빵집]에서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전달해 달라면서 빵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8번째 입니다. 때마침 센터를 방문한 "용감한 형제"가 빵을 맛있게 먹었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2023. 5. 2.
[고래책방] 빵나눔.......:)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고래책방[고래빵집]에서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에게 전달해 달라면서 빵을 나눔해 주셨습니다. 7번째, 나눔입니다. 감사합니다. 2023. 4. 24.
[공간정비] 러시아어 사용하는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인터넷환경을 마련하였습니다.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센터를 방문하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외국인근로자를 위해 인터넷 환경을 마련하였습니다. 컴퓨터는 지난 번에 알려드린대로 강릉시자원봉사센터에서 기부해 주었고, 와이파이(ID : GNSCFW_5G, PW : 0336558956) 환경도 구축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러시아 상담사로 부터 러시아 키보드를 기부받아 붙였습니다. 스마트폰 때문에 컴퓨터 쓸일이 많이 없어지기는 했어도, 필요한 외국인근로자가 있으면 언제든지 오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2023. 4. 20.
2023.04.14 강릉시 일자리 유관기관 실무자회의 참석 1. 일 시 : 2023. 4 .14(금) 10:00 2. 장소 : 강릉시청 2층 강의실 211호 3. 참석대상 : 강릉시 관내 21개 일자리 유관기관 실무자 4. 회의내용 - 2023 강릉시 일자리종합안내서 발간 축하 및 책자 배부 - 2024년 책자 제작 논의 2023. 4. 16.
2023.04.07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 제 1차 운영위원회 2023년 4월 7일(금) 17시 농촌한정식에서 2023년 제 1차 운영위원회를 가졌습니다. 보고안건으로 1. 강릉시 조례 안내 2. 2023년 1분기 사업보고(운영현황, 타 지자체 운영현황, 외국인 현황, 기타사업별) 3. 2023년 1분기 결산보고 논의안건으로 1. 운영규정 제정을 위한 조례 개정 2. 운영위원회 운영위원장 선출 3. 센터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제언(각 소속, 분야와 관련한 정보공유 및 센터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제안 등) 4. 차기 운영위원회 일정 확정(6월 29일 16시) 을 다루어 심도있게 논의하였습니다. 또한 운영위원 위촉장 수여도 진행하였습니다. 열네분 운영위원님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지원, 제언을 기대합니다. 2023. 4. 16.
[센터방문] 강릉교육지원청 정태범 교육장 방문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지난 4월 3일에 강릉교육지원청 정태범 교육장이 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최근 외국인근로자의 자녀나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교육권과 관련한 이슈가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 학교와 자국 학교의 교육시스템의 차이를 이해하고 학습권을 보장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함께 하였습니다. 센터에도 자녀교육과 관련된 상담을 요청하는 외국인근로자 상담이 월 20건 정도 접수됩니다. 적정한 대책과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앞으로, 강릉시교육지원청과 협력을 통해 외국인근로자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3. 4. 9.
[강릉시의원] 김현수 의원과 서정무 의원 센터 방문 강릉시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입니다. 불철주야 강릉시를 위해 애쓰시는 김현수 의원과 서정무 의원이 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강릉시 및 주변 시군의 외국인근로자 현황과 센터를 방문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이야기를 듣고 많은 공감을 하였습니다. 이미 외국인근로자는 내국인의 직업 미스매칭으로 인해 발생되는 어렵고, 힘든 일자리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해 일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지역사회는 아직 이들의 노고에 감사함을 표하는 것인 인색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들이 강릉에서 빠른 적응을 하고 안전한 생활을 할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2023. 4. 6.